1. 용량 (단위: Ah)

이것은 모두가 더 우려하는 매개 변수입니다. 배터리 용량은 배터리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로, 특정 조건(방전율, 온도, 종단 전압 등)에서 배터리가 방전하는 전기량을 나타냅니다(JS-150D 방전 테스트 가능). , 즉 배터리 용량은 일반적으로 단위당 암페어(시간)로 표시됩니다(약어로 AH, 1A-h = 3600C로 표시). 예를 들어, 배터리가 48V200ah라면 배터리는 48V*200ah=9.6KWh, 즉 9.6kW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배터리 용량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실제 용량, 이론 용량, 정격 용량으로 구분됩니다.
실제 용량특정 방전 방식(특정 침전 수준, 특정 전류 밀도 및 특정 종료 전압)에서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전기량을 나타냅니다. 실제 용량은 일반적으로 온도, 습도, 충전 및 방전 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정격 용량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실제 용량은 정격 용량보다 작으며 때로는 정격 용량보다 훨씬 작습니다.
이론적 용량배터리 반응에 참여하는 모든 활성 물질이 제공하는 전기량을 나타냅니다. 즉,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용량이다.
정격 용량정격 작동 조건에서 모터 또는 전기 제품에 표시된 명판을 참조하면 오랜 시간 동안 계속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의 피상 전력, 모터의 유효 전력, 위상 조정 장비의 피상 전력 또는 무효 전력(VA, kVA, MVA)을 나타냅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극판의 형상, 종단 전압, 온도 및 방전 속도는 모두 배터리 용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북부 지역에서는 겨울에 야외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면 배터리 용량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2. 에너지 밀도(단위: Wh/kg 또는 Wh/L)

주어진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에너지 밀도, 배터리 에너지 밀도, 저장 매체의 질량 또는 부피에 충전될 수 있는 에너지의 비율입니다. 전자를 "질량 에너지 밀도", 후자를 "체적 에너지 밀도"라고 하며, 단위는 각각 와트시/kg Wh/kg, 와트시/리터 Wh/L입니다. 여기서 전력은 위에서 언급한 용량(Ah)과 적분의 작동 전압(V)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에너지 밀도의 측정 기준이 용량보다 더 유익합니다.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 밀도 수준은 약 100~200Wh/kg으로 달성할 수 있지만 이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응용 분야의 병목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문제는 전기차 분야에서도 발생하는데, 부피와 무게에 엄격한 제한이 적용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전기차의 최대 주행거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주행거리 불안'이 독특한 용어다. 전기차의 단일 주행거리가 500㎞(기존 연료전지 자동차 대비)에 달하려면 배터리 모노머의 에너지 밀도가 300Wh/kg 이상이어야 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증가는 집적회로 업계의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낮은 느린 과정으로, 전자 제품의 성능 향상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향상 사이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
게시 시간: 2023년 11월 10일